민족 대표 음식인 김치의 문화적, 기능적 전통을 계승 발전시킬 주역을 뽑는‘제28회 대한민국 김치 경연대회’개최를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.
제28회 광주세계김치축제 대한민국 김치 경연대회
- 공고 기간: 2021. 08. 03.(화) ~ 09. 14(화) - 접수 기간: 2021. 09. 01.(수) ~ 09. 14.(화) 17:00 - 서류 전형 : 2021. 09. 16(목)- 합격자 발표 : 2021. 09. 17(금)- 1차 경연 : 2021. 10. 15.(금) 09:00~17:00- 2차 경연 : 2021. 10. 29.(금) 08:30~18:00- 시상식 : 2021. 10. 29.(금) 18:00
광주김치타운 다목적체험관
광주광역시 / 세계김치연구소
대한민국 국민(1인 1팀)
1·2차 지정종목(배추김치)/ 2차 자유종목(자유선택김치)
구 분 | 일 시 | 경연종목 | |
---|---|---|---|
지정정목 | 자유종목 | ||
1차경연 | 2021. 10. 15.(금) | 배추김치 (숙성 평가) |
(해당 없음) |
2차경연 | 2021. 10. 29.(금) | 배추김치 (당일 제조) |
자유선택 김치 |
지정 종목 요건 | |
---|---|
목표 | 배추김치 실기 평가를 통하여 기본적인 김치 담기 기능 및 문화적 이해도를 평가함으로써 전통 김치 전문가로서의 역량 파악 |
심사기준 | 전통 김치의 제법 이해도, 전통 재료 활용 여부, 조리 숙련도, 완성 김치의 관능적 요소 등 항목별 전문성 평가 |
방법 | 지정 공간에서, 제한 시간 내에, 제시되는 원재료만을 활용하여, 본인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여 완성도 높은 통배추김치 제조 |
사용 가능한 재료 | 배추, 무, 마늘, 생강, 고춧가루(건고추, 물고추 가능), 파(대파, 쪽파), 갓, 부추, 미나리, 곡물죽(전통 곡류 중 자유 선택하되 현장제조), 육수(재료 자유 선택하되 현장제조), 사과, 배, 청각, 젓갈(3종 이내), 절임용 천일염 ※ 모든 재료는 본인이 준비 함 ※ 상기 품목 외 재료 사용 불가 (or 재료 추가 희망 시 사전 승인 필요) |
자유종목 (자유선택 김치) 요건 | |
---|---|
목표 | 김치 전문가에 요구되는 창의성, 응용력 등 제조 전문성을 확인, 평가하고, 김치의 다양성 확보를 통한 산업성, 세계화 가능성 등 탐색 |
심사기준 | 가문·지역·문헌 등에서 전승되거나 스스로 개발한 김치 시연을 통하여 참가자 자신의 전문성(숙련도, 창의력, 응용력, 시연능력 등)과 관능적 우수성을 비롯한 독창성, 문화적 및 산업적 가치 등 해당 김치의 가치를 종합 평가 |
방법 | 주어진 시간 내에 재료, 제법, 형태 등의 제약 없이 신청자의 역량을 자유롭게 발휘하여 시연함 |
2021. 8. 3.(화) ~ 9. 14.(화) 43일간
2021. 9. 1.(수) ~ 9. 14.(화) 14일간
참가신청서, 개인정보 이용동의서, 레시피, 요리사진, 신분증 사본, 통장 사본
이메일및 우편접수(팩스접수 : 불가)
2021. 9. 16.(목)
제출한 서류(참가신청서, 레시피)를 토대로 심사
서류심사를 통과한 20팀 이내 선정
2021. 9. 17.(금) * 축제홈페이지에 공고 예정
2021. 10. 29.(금) 18:00 * 본선 종료 후 당일 결과발표 및 시상
대통령상과 상금 500만원
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과 상금 200만원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과 상금 200만원
광주광역시장상과 상금 각 100만원
2021. 10. 29.(금) 18:00 * 본선 종료 후 당일 결과발표 및 시상
대통령상과 상금 500만원
농림축산식품부장관상과 상금 200만원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과 상금 200만원
구 분 | 1차 경연 | 2차 경연 |
---|---|---|
일 시 | 2021. 10. 15.(금) 09:00~17:00 | 2021. 10. 29.(금) 08:30~18:00 |
장 소 | 광주김치타운 내 ‘다목적 체험관’ 광주광역시 남구 김치로 60 | |
참 가 팀 | 서류심사 통과 20팀 이내 | |
심사방법 | 심사위원 구성 : 김치 관련 학자·전문가 7명으로 구성 . 평가 방법 : 경연규정 및 평가 기준에 의거 채점 |
|
경연내용 | ① 숙성시킬 배추김치 만들기 - 4kg 이상 ② 완성된 김치를 참가자가 직접 저장용 용기에 넣고 봉인 - 심사위원 입회 ③ 1차 숙성 : 지정장소에서 실온상태로 1일간 숙성 ④ 2차 숙성 : 1차 숙성 후 2~5℃ 저온저장고에서 14일간 보관 ※ 1차 경연참가 시 완성 김치를 저장, 숙성할 밀폐 용기를 참가자 지참 (4kg 용량) |
① 1차 경연에서 담가 숙성시킨 김치 평가 - 본선 당일 오전까지 숙성 후 경연장에서 참가자에게 인계 - 심사위원 관능평가 ② 경연 진행 및 심사 - 지정 종목 배추김치 담기 - 자유 종목 김치 담기 - 완성 김치 실물 전시 - 전 과정 심사 및 종합 평가 ③ 심사결과발표 - 참가자 전체 기념촬영 포함 ※ 크기(지름 30㎝ 내외)의 전시용 그릇(3종) 참가자 지참 |
시 간 | 주 요 내 용 | 비 고 | |
---|---|---|---|
09:00~09:30 | 30' | 참가자 등록 및 입장 | 사 회 자 |
09:30~10:00 | 30' | 경연준비 및 유의사항 공지/ 레시피 재료검수 | 감독관 |
10:00~10:10 | 10' | 감독관 소개, 경연규정 설명 | |
10:10~12:00 | 110' | 경연 1부 진행 | |
12:00~13:00 | 60' | 중식(주최 측 제공, 외부 출입 불가) | |
13:00~16:30 | 210' | 경연 2부 진행(완성되는 대로 제출 및 봉인) | |
16:30~17:00 | 30' | 실온 보관 1일 후 2~5℃ 저장 14일간 숙성 | 주최 측 |
시 간 | 주 요 내 용 | 비 고 | |
---|---|---|---|
08:30~09:10 | 40' | 참가자 등록 및 입장 | 사 회 자 |
09:10~10:00 | 50' | 경연준비 및 유의사항 공지 레시피 재료검수 | 감독관 |
10:00~10:10 | 10' | 심사위원 소개, 경연규정 및 평가기준 설명 | |
10:10~12:00 | 110' | 경연 1부 진행 | |
12:00~13:00 | 60' | 중식(주최 측 제공, 외부 출입 불가) | |
13:00~16:50 | 230' | 경연 2부 진행 | |
16:50~17:50 | 60' | 심사 및 집계 (숙성김치, 당일 제조 지정/자유종목 김치) |
|
17:50~18:00 | 10' | 심사결과발표 및 시상, 전체 기념촬영 |
구 분 | 평 가 기 준 | 배 점 | 비고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지정종목(배추김치) | 재 료 | 재료의 선택, 재료 기준 준수 여부 | 5 | 5 | |
조리과정 | 재료손질 및 위생 | 10 | 25 | ||
조리 숙련도 | 15 | ||||
레시피의 정확도 | 10 | 10 | |||
생 김 치 | 외관, 담음새 | 15 | 60 | ||
재료들의 조화, 절임, 버무림 | 15 | ||||
종합적인 맛 | 30 | ||||
숙성김치(포기배추김치) | 숙성김치 | 외형, 색깔, 담음새 | 20 | 100 | |
향미 | 25 | ||||
조직감 | 25 | ||||
숙성김치의 종합적인 맛 | 30 | ||||
합 계 | 200 |
구 분 | 평 가 기 준 | 배 점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메뉴 및 재료 | 재료의 선택, 어울림 | 10 | 10 | |
조리과정 | 전처리 및 위생 | 5 | 25 | |
조리 숙련도 | 20 | |||
품질과 맛 | 외관, 담음새 | 10 | 45 | |
조직감 | 10 | |||
종합적인 맛 | 25 | |||
산업화 | 문화적 요소 (스토리, 역사성 등) | 5 | 20 | |
상품화 가능성 (컨셉트, 네이밍 등) | 5 | |||
산업성 (제조 용이성, 가격 등) | 5 | |||
독창성, 창의성 | 5 | |||
합 계 | 100 |
감점사항
심사 제외사항